반응형
RSA
- 공개키 기반 암호화 방식 :
데이터를 송신하는 곳과 수신하는 곳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경우
데이터를 키로 암호화 하는데
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 다른 키를 사용한다. - 키는 두개를 사용하는데 공개키와 비밀키가 있다.
- 데이터 전송방법
- 데이터를 수신자B의 공개키로 잠근다.(암호화)
- 그 데이터를 다시 송신자A의 비밀키로 잠근다. (전자서명)
→ 수신측에서 누가 보냈는 지 알 수 있도록. - 전송한다.
- 데이터 받는 방법
- 받은 데이터를 송신자A의 공개키로 연다.(서명검증)
→ 누가 보냈는 지 확인. - 그 데이터를 수신자B의 개인키로 연다.(복호화)
- 받은 데이터를 송신자A의 공개키로 연다.(서명검증)
- 전송시 노출이 되면 안되는 경우에 사용.
대칭키 방식은
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데, 키 전송에 문제가 있다.
autorizen_keys로 수신측 인증이 완료되면 session이 만들어진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