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pleStory Cookie With Halo

분류 전체보기 537

[정보처리기사][실기]2024년2회차 합격.Tip

결국은 시나공 요약본 추천필기책만 사도 실기 자료도 볼 수 있습니다.많은 요약본이 있지만 제일 효과본 요약본만 추려보았습니다.문제흐름을 반영하여 시험 3주~한달 전에 요약본이 사이트에 업데이트 되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.실기 내용 = 필기내용 + 코딩 & SQL하나는 50p, 하나는 120p가 넘어가는데50p정도 되는 요약본을 두번 정도 후루룩 읽고120p정도 되는 요약본을 두번 정도 읽어줍니다.그 다음 이런 코딩&SQL문제를 넘어가는데만약 코딩을 전혀 모르신다면 유튜브에 '정보처리기사 코딩' 등과 같은 키워드로 어느 정도 따로 공부가 필요합니다.수준에 따라 해답을 보면서 읽거나 문제를 직접 풀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기출문제 최근(가장 최근 아니어도 됨)회차로 최대한 보기최신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요약집..

[CleanCode]함수-인수 Arguments

시작하기 전 용어에 대해Parameter: 매개 변수. 선언된 함수에서 지정한 전달받는 데이터의 형태. Argument: 인수. 전달하는 데이터 값.함수명과 인수명은 한 쌍이어야 한다.이상적인 인수 개수는0개인수가 많을 수록 우리는 해당 인수들이 함수 내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찾아야 하므로인수는 적을 수록 좋다.3개 이상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.많이 쓰는 단항(1개) 형식(추천)이항 함수 이항 함수와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되도록 단항함수로 바꾸어 쓸 수 있게 method 또는 class를 이용해 분리하도록 한다.삼항 함수flag(boolean) 인수인수 목록: 인수 개수가 가변적인 함수 활용ex) String.format()출력 인수를 피하라

📜 CleanCode 2024.09.06

[JAVA]toString 함수

모든 class는 Object클래스를 상속 받는데Object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 중 하나가 toString() 함수이다.Circle 클래스에서 toString()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지 않으면, Circle 객체의 toString() 호출 결과는 Circle@1a2b3c4와 같은 형태로 출력됩니다.하지만 toString()클래스를 이용하면 Circle 클래스 호출하여 출력시 지정한 문자열로 출력할 수 있다.디버깅이나 값을 확인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.

[Java/Algorithm]소수와 합성수

자연수(-음수를 제외한 정수 0~99~)를 분류하는 두가지 종류소수와 합성수  소수Prime Number 1과 자기 자신 외에는 약수를 가지지 않는 자연수. 약수란?6을 나눴을 때 0이 되는 수. 6의 약수는 1,2,3,6입니다.자연수를 나눴을 때 나눠 떨어지게 하는(6%3는 2로 나누어 떨어집니다) 자연수를 말합니다. 2, 3, 5, 7, 11, 13, 17...가장 작은 소수는 2이며, 이는 유일한 짝수 소수입니다.모든 소수는 1보다 크고, 홀수입니다. (단, 2는 예외) ↑ 코드 설명 2(가장 작은 소수)~100사이의 소수를 찾습니다.(바깥 쪽 for문)1과 자기 자신 외에는 약수를 가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안쪽 for문은 2~부터 n미만까지 for문을 사용합니다.만약 n이 사라면 안쪽 for문에..

[Java/Algorithm]기수

기수Radix숫자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숫자의 개수2진수: 0과 1. 숫자 두개만 사용.8진수: 0~7. 여덟개를 사용.10진구: 0~9. 숫자 열개 사용.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숫자체계.16진수: 0~9, A~F. 열여섯개 사용.10 대신 A, 11 대신 B 식으로 이용.01234567891011121314150123456789ABCDEF  정수 상수: 정수상태로 표현된 상수.정수 : 소수점이 없는 숫자. n진수를 모두 포함한다.상수 : 변하지 않는 숫자.n진수 표현10진수 표현→  1234 = 1 x 10³ + 2 x 10²  +  3 x 10¹ + 4 x 10⁰8진수 표현→ 5306 = 5 x 8³ + 3 x 8²  +  0 x 8 ¹ + 6 x 8 ⁰16진수 표현→ 12A0 = 1 x 16³ + ..

[Java/Algorithm](기본)배열 역순정렬

기본 배열 역순으로 정렬하기  ArrayList일 경우에는 .reverse()를 사용하면 된다.기본 배열일 경우에는 배열길이 / 2 만큼만예를 들어 길이가 5일 경우arr[0] ↔ arr[4]arr[1] ↔ arr[3]이런 식으로 바꿔주면 역순으로 정렬됩니다.길이가 홀수일 경우 중앙값은 그대로 두면 됩니다.   배열 요소의 합계 구하기  문제 자체는 간단하다.여기서 특징적인 건 배열 요소를 더하는insertArrElement()함수에서 void.즉 return값이 없는데도, main()함수에서 배열요소가 채워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는 점이다.  참조변수를 매개변수로 넘겨주면해당 함수는 참조변수의 실제 메모리 값(heap영역)을 변경할 수 있다.

[Java/Algorithm]자료구조와 난수

자료구조란?Data structure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/저장하기 위한 방법.데이터 단위와 데이터 자체(메모리값) 사이 물리적/논리적 관계.종류Array, List, Stack, Queue, Set, Map.정의하자면 이렇지만..종류를 보시면 jdk에 포함된 것들입니다.editor인 이클립스나 VScode에 jdk를 연결하면, jdk안에 java코드 작성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있잖아요. 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배열.https://yeun-devlog.tistory.com/entry/JAVA%EB%B0%B0%EC%97%B4-Array [JAVA]배열 Array [ ]배열Array[ ]여러 개의 값을 모아서 사용할 수 있는참조 타입.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.배열의 크기가 3일 때[0][1][2] 라는 in..

[JAVA]배열 Array [ ]

배열Array[ ]여러 개의 같은 타입 데이터를 모아서 사용할 수 있다.참조 타입.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.  특징배열의 크기가 3일 경우[0][1][2] 라는 index가 생깁니다.index는 데이터가 머물고있는 집주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.변수명.length : 변수길이초기값 0(값을 아무것도 안 넣었을 때)길이가 고정이라 변경할 수 없습니다.※ 장점 : 효율이 좋다 빠르다.※ 단점 : 배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없다. 기존 데이터의 추가/삭제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.  값 출력그냥 배열 변수명을 출력하면 주소값이 나옵니다.배열 전체를 보려면Arrays.toString(변수명)이렇게 하면됩니다.아래와 같이 for문으로도 출력 가능.  값 대입❗ 사용법도 간단하고 효율이 좋지만 배열크기를 늘이거나 줄이는..

[Java/Algorithm]단축평가, 드모르간 법칙, 다중루프

구조적 프로그래밍이란?하나의 입/출구 구성요소만을 계층적 배치하여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. 순차, 선택, 반복의 제어 흐름을 이용한다.순차 process 문장 -> process 문장선택 is/else와 같은 조건문반복 Loop. for, while구조적 프로그래밍에 사용될 수 있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.단축 평가short circuit evaluation드모르간 법칙De Morgan's laws각 조건을 부정하고(    ) → !(    )논리곱을 논리 합으로, 논리합을 논리곱으로 바꾸고|| → &&다시 전체를 부정하면=원래의 조건과 같다.다른 예제를 보면.. 반대로 해야할 것들을 따로 모아보면변수 x, y||( )이렇게 모두를 부정하면 값이 같아진다는 겁니다.다중 루프이중 for문/이중 루프..

[Java/Algorithm]순서도 flowchart

Data Data Process Predenfined process Decision Loop limit Line Terminator반복 구조repetition루프 Loop 라고 합니다.  이 때 while문은 실행 전에 반복을 계속할 지 판단하는 걸 '사전 판단 반복 구조' 라고 합니다.연습문제 풀어보기문제 : 1부터 10까지의 합은 (1 + 10) * 5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. 가우스의 덧셈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1부터 n까지 정수 합을 구하시오. 1 ~ 10까지의 합을 구할 경우1 + 10 = 112 + 9 =  11...5 + 6 = 11모두 11이므로 이를 5번만 곱하면 정답이다.짝수일 경우(n%2가 0)에는 n/2만 곱해주면되고홀수일 경우에 (n-1) /2를 곱한 후 (처음값과 중앙값)..

반응형